페이지 정보
조회 112회
작성일 25-03-02 13:53
본문
1930년∼1944년 선전(현재의 국전) 입특선 14회
1960년 이후 국전심사위원 4회
1960년 목포문화상
1976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82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목포시민의 상
1983년 대한민국 예술원원로회원
1984년 영국 캠브리지 대학 국제저명인사전기편에 수록
1985년 남농기념관 준공
1987년 11월 5일
1960년 이후 국전심사위원 4회
1960년 목포문화상
1976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82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목포시민의 상
1983년 대한민국 예술원원로회원
1984년 영국 캠브리지 대학 국제저명인사전기편에 수록
1985년 남농기념관 준공
1987년 11월 5일
1908.6. 12∼1987. 11. 5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서 조선시대 헌종때 궁중 화가였으며 시와 글씨, 그림에 뛰어나 '시·서·화'삼절이라 불리우던 소치 허유(또는 허련)선생의 손자요, 화가인 미산 허형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만 해도 화가들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낮았기 때문예 그의 집안은 매우 어려웠다고 한다. 그 후 강진을 거쳐 목포에 이사온 이후에도 궁핍한 생활은 여전하였으나 1925년 북교초등학교 졸업, 1927년 목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서 조선시대 헌종때 궁중 화가였으며 시와 글씨, 그림에 뛰어나 '시·서·화'삼절이라 불리우던 소치 허유(또는 허련)선생의 손자요, 화가인 미산 허형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만 해도 화가들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낮았기 때문예 그의 집안은 매우 어려웠다고 한다. 그 후 강진을 거쳐 목포에 이사온 이후에도 궁핍한 생활은 여전하였으나 1925년 북교초등학교 졸업, 1927년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