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희곡 > 전문예술인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예술인DB 게시물 검색

HOME > 문화예술DB > 전문예술인 Artist Search

페이지 정보

조회 144회 작성일 25-03-02 16:07
전문예술인정보
문학, 희곡
  • 성명(실명) : 김우진(金祐縝)
  • 호/필명(예명) : 수산(水山)
  • 이메일 :

본문

주요이력

1913

- 소설「공상문학」창작

1915

- 시「아아 무엇을 얻어냐 하나」(일문) 창작

1916

- 시「첫날밤」창작, 논문 「축산론」(일문) 집필

1918

- 졸업논문 「조선에서의 삼림사업 일반」집

- 시「어느 날 밤의 환영」(일문)

- 「휘파람 새와 별」(일문) 창작(추청)

1919 

- 시「아버지께」창작, 수상「타씨찬장」집필

1920 

- 조명희 등 20여명과 함께 <극예술협회> 발족

- 평론「스펙테이터의 역사」(일문) 집필

- 평론「영문학사상의<Farie Gueene)」(일문), 「병고」(일문) 창작

- 시「회상」창작(추정)

- 평론「애란인으로서의 버나드 쇼」(일문) 집필

1921

- 「시이국의 소녀」, 「애락곡」, 「춘호행」, 「봄바람과 비」, 「세지상의 생광」, 「춘강화월야」, 「봄의 연인」, 「춘호」창작

- 평론「소위 근대극에 대하여」《학지광》 제22호 발표

- 소설 「동굴 위에 선 사람」(일문) 창작

- '동우회 순회연극단' 주도 연출 활동

- 7월 부산을 시작으로 8월 함흥까지 40일 동안 25개 지역 순회

- 던세니「찬란한 문」번역

- 시「이단의 처녀와 방랑자」, 「사랑의 가을」, 「추사」, 「빈양(牝羊) 갓흔 창부의 기도」창작

1922

- 수상록「언어의 특성」(일문) 집필

- 「시사상의 수의랄 조상 하난 수난자의 탄식」, 「피로」, 「방랑자의 묘명」, 「절망」(일문) 창작

-  평론 「조선말 없는 조선문단에 일언」《중외일보》발표

- 「수랑록번민하는 친구에게」(일문) 집필

1923

- 시「고의 붕괴」한글, 일문으로 창작

- 평론「맥베드가 본 유령과 햄릿이 본 유령」(일문)

- 「셰익스피어의 생애」(일문),

- 「애란의 시사」, 「예술의 종교」(일문) 집필(추정)

1924

- 시「사랑은 아니 하였지만」, 「운명을 저주하노라」(일문), 「자유와 자연의 독자」창작

- 시「몽상가여!」창작(추정)

- 와세다대학 영문과 졸업 (졸업 논문「Man and Superman!」)

- 목포로 귀향 '상성합명회사' 사장에 취임

- 시「가을 강가에 시드러져 가는 당버들을 노앗노라」, 「청춘」창작

1925

- 시「사람들」창작

- 평론「아관 '계급문학'과 비평가」집필

- 시「아버지께」와, 수상록「곡선의 생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식논리」, 「사랑의 화살」제1집 발표

- 평론「'노래' 몇 낫」집필

- 평론「창작을 권합네다」제3집 발표

- 희곡「두덕이 시인의 환멸」창작 《학조》(1926.6) 발표

1926

- 평론「사옹의 생활」집필(추정)

- 희곡「이영녀」창작(추정)

- 수상록「신청권」, 「기록의 마력」, 「자유의지의 문제」「Jus Primae Noctis(초야권)」, 「무제」집필(추정)

- 평론「구미 현대극작가」《시대일보》연재 발표

- 평론「이광수류의 문학을 매장하라」집필

- 시「잠결」,「고뇌」(일문), 「절망」, 「한가지의 깃붐」, 「○○」, 「죽엄」, 「기원」, 「엇지면-」, 「보배로운 상처」, 「자조」, 「어린애만 되였드면」, 「죽엄의 일홈」창작

- 수상록「생명력의 고갈」집필

- 시「사와 생의 이론」창작(추정)

- 희곡「난파」창작

- 평론「우리 신극운동의 첫 길」《조선일보》발표

- 평론 「자유극장 이약이」《개벽》발표

- 수상록「아 프로테스토」, 「출가」집필

- 희곡 「山 돼지」《조선지광》발표

- 평론 「축지 소극장에서 "인조인간"을 보고」《개벽》발표

1927 

- 평론「황제존스에 대하여」《시대일보》발표


연대미상작품

- 희곡「정오」

- 희곡 번역「워렌 부인의 직업」(버나드 쇼 원작)

- 소설 번역「영웅」(다눈치오 원작)

- 일문 소설「방련은 어떻게 해서 나병의 남편을 완퇘시켰나」

자기소개
김우진은 전남 장성에서 당시 군수였던 김성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7년 목포시 북교동 46번지로 이주하여 목포공립보통학교(현 북교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구마모토 농업학교를 거쳐 1924년 와세다 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목포로 귀향하여 영농사업체 사장으로 일하면서 시 50편, 희곡 5편, 소설 3편, 문학평론 20편을 남겼다.
작품사진
Total 44건 3 페이지

검색


사이트 정보

목포문화예술인DB 전화 061-245-8832~3 팩스 061-245-8885 이메일 mpcf8833@hanmail.net
주소 (우)58724 전남 목포시 수문로 32 트윈스타 412호

Copyright © 2025, 목포예술인DB All rights reserved.